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SMALL
    연산자 종류
| 산술연산자 | +  -  * / : 실제나누기 연산결과 몫X % : 나머지 ** : 지수 | 
| 증감연산자 | ++ -- | 
| 대입연산자 | = += -= *= /= %= | 
| 비교연산자 | ==  : 동등연산자 (자동으로 자료형 변환 후 비교) : 숫자와 문자열 비교 시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: 피연산자가 boolean일 경우 true는 1로 false는 0로 변환 : 객체와 숫자/문자열 비교시 객체를 기본 데이터타입으로 변환 : null과 undefined는 true 반환 === : 일치 연산자 : 타입 변환을 하지않고 정확히 값과 자료형을 비교 그 외 != !== > >= < <= | 
| 연결연산자 | +(문자열 결합) | 
| 논리연산자 | && || ! | 
| 조건연산자 | 조건 ? 실행문1 : 실행문2 | 
- 1. 산술연산자

- 2. 비교연산자
- == 는 서버에서 값을 가져올 때 숫자인지 문자인지 판별할 때 자주 사용
 

- 변수 num 값 중에서 백의자리 이하를 버리는 코드이다.
만일 변수 num의 값이 456이라면 400이 되고, 111이면 100이 되는 코드 작성

형변환
| parseInt() | 문자열을 숫자(정수)로 변경 | 
| parseFloat() | 문자열을 숫자(실수)로 변경 | 
| Number() | 다른 자료형을 숫자형(정수&실수)로 변경 | 
| toString() | 숫자를 문자열로 변경 | 
-> !!! console창에서 변경가능 !!!!

,(반점) : 결과값 글씨는 문자, parseInt쓴 곳은 숫자
+ : 전부 문자로 출력
- 각각 값이 '100'(문자열) , 200(숫자)인 num1,num2를 형변환 하여 결과값 출력

<최종코드>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    <script>
        //산술연산자
        console.log(10/3);
        console.log(10%3);
        //비교연산자
        // ==, != : 자료형을 자동으로 변환(ex. 문자열 -> 숫자)
        // ===, !== : 자료형도 확인
        console.log(10=='10');
        console.log(10==='10');
        console.log(10!='10');
        console.log(10!=='10');
        //변수 num 값 중에서 백의자리 이하를 버리는 실습
        let num=312;
        a=num-num%100;
        console.log("백의 자리 이하 버린 결과 >>"+a);
        // 또 다른 방법
        console.log("결과값 :",parseInt(num/100)*100);
        console.log("결과값 :"+parseInt(num/100)*100);
        // 각각 값이 '100' , 200인 num1,num2를 형변환 하여 결과값 출력
        let num1='100';
        let num2=200;
        console.log("100과 200의 더한 결과>>",parseInt(num1)+num2);
        //또 다른 방법
        console.log("100과 200의 더한 결과>>",Number(num1)+num2);
    </script>
</body>
</html>
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LIST
    '스마트인재개발원 >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JS] 자바스크립트 반복문(for문/switch문) / 랜덤숫자 맞추기 (0) | 2022.10.07 | 
|---|---|
| [JS] 자바스크립트 조건문/ 조건문 활용한 예제/ 입력창 입력값에 따른 배경색 지정/ 점수 입력 후 평균과 학점 계산 (0) | 2022.10.07 | 
| [JS] 입력창에 입력된 값 콘솔창에 띄우기 / 자바스크립트 자료형 종류 및 특징/ undefined,null,NaN 차이점 (0) | 2022.10.06 | 
| [JS]자바 스크립트,자바 변수 사용 차이점/ 변수 네이밍 법칙/var,let,const 차이/정의 (0) | 2022.10.06 | 
| [JS]자바스크립트 실행오류 확인방법/입력과 출력 방법/콘솔창에 입력값 나오게하기 (0) | 2022.10.06 | 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